朴齊家 기술수용론의 의의와 한계
페이지 정보
작성일 25-07-04 12:07
본문
Download : 朴齊家 기술수용론의 의의와 한계.hwp
ꡔ星湖僿說ꡕ, 「天地門」, ‘分野’, 35쪽.
洪大容은 “지금 서양의 법은 산수를 근본으로 하고 儀器를 도구로 하여 만물을 헤아리고 만상을 살핀다. 성인이 다시 태어나더라도 반드시...
Download : 朴齊家 기술수용론의 의의와 한계.hwp( 39 )
李瀷은 “지금 시행되고 있는 시헌력은 곧 탕약망이 만든 것인데, 역법의 극치이니 일식과 월식이 틀린 적이 없다. 성인이 다시 태어나더라도 반드시 이것을 따를 것이다” ꡔ星湖僿說ꡕ(ꡔ星湖全書ꡕ 5), 「天地門」, ‘曆象’, 53쪽.
라고 하고 있다아 이것은 적어도 역법에 관한 한 서양의 것이 中國의 것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며, 나아가 서양의 것과 中國의 것 사이에 있는 差別성을 인식한 것이다. 이익의 이러한 인식이 가능했던 것은 그가 수많은 한역서학서를 직접 읽었고, 이를 통해 그의 인식의 지평이 지구 전체로 확대되었기 때문일 것이다. ---- 이러한 것은 漢唐 시대에도 없었던 것이라고 해도 허튼 소리가 아니다” ვ…(투비컨티뉴드 )
李瀷은 “지금 시행되고 있는 시헌력은 곧 탕약망이 만든 것인데, 역법의 극치이니 일식과 월식이 틀린 적이 없다. 성인이 다시 태어나더라도 반드시... , 朴齊家 기술수용론의 의의와 한계인문사회레포트 ,
朴齊家 기술수용론의 의의와 한계
순서
다. 그가 지구구형설을 근거로 해서 中國이 더 이상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없음을 설파한 것은 그의 시야가 中國을 중심으로 한 동양의 테두리 안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.






레포트/인문사회
설명
,인문사회,레포트
李瀷은 “지금 시행되고 있는 시헌력은 곧 탕약망이 만든 것인데, 역법의 극치이니 일식과 월식이 틀린 적이 없다.